에칠파라벤(Ethyl Paraben)
메칠파라벤(Methyl Paraben)
프로필파라벤(Propyl Paraben)
부틸파라벤(Butyl Paraben)
이소부틸파라벤(Isobutyl Paraben)
대표적인 유해성 논란의 합성 보존제인 파라벤 방부제는 위와 같이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파라벤 방부제는 에스트로겐(estrogen)과 내분비계(endocrine)을 교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해요
파라벤의 한 종류인 부틸파라벤은 양서류에 기형을 일으키는 등 독성분도 있다네요. 무섭지 않나요??
영국의 한 연구진은 20명의 유방암 환자들의 종양조직에서 파라벤 성분을 검출, 유방암의 원인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메칠파라벤의 경우 피부세포의 노화와 분화에 좋지 않은 영향을 보인다네요
피부에 가해지는 산화스트레스와 산화질소의 발생도도 상승. 이는 주름, 검버섯 등으로 대표되는 피부노화의 대표적인 원인이므로 메틸파라벤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노화를 급속도로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니 사용들 자제하세요.
페녹시에탄올같은 경우는 파라벤을 대체하는 화학물질이라 좀 약해서 성인들은 적게 사용하면 괜찮다고는 하는데 영유아나 임신하신 분들은 조심하셔야할듯해요.
화장품등 바디제품구입하실때 조금 신중해야할것같아요.
'건강하게 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을 제거하는 녹색식물인 녹차의 효능과 부작용 (0) | 2019.11.24 |
---|---|
미역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19.11.16 |
석류는 여성만을 지켜주는 가? (0) | 2019.10.28 |
달맞이 종자유를 아시나요? (0) | 2019.10.24 |
온천욕 집에서 피부가 건강해지는 한방스파 (0) | 2019.09.05 |
댓글